개발 초기의 small molecule 연구 및 efficacy test를 자동화하여 시간 단축 및 정확성 확보
    
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High Throughput Screening(HTS)  | 
                    MEKi kinase assay | 
| mTORi kinase assay | |
| Histone methyltransferase EHMT2/G9a assay | |
| Lantha EphB4 activity assay | |
| Deubiquitination activity assay | |
| GPCR Modulating activity screen (cell-based) | |
| Lethality of NCI-60 cancer cell panel | |
| Cancer cell lethality screen | |
| PDX-derived primary lethality screen | |
| Cancer stem cell lethality imaging in mix-culture system | |
| PD-1/PD-L1 Bl1ock assay | |
| 
                         High Content Screening (HCS)  | 
                    Cell viability assay 3D culture system | 
| Apoptosis assay | |
| Translocation activity of target molecules | |
| Detection of changing cell organelles | |
| Detection of DNA damage assay | |
| Cancer cell lethality imaging screen | |
| Primary lethality imaging screen | |
| Cancer stem cell lethality imaging in mix-culture system | 
서비스 내용
- Phenotype / target 기반 screening setup
 - HTS campaign 신약개발을 위한 빠른 연구
 - 새로운 항암 치료제에 대한 자동화/최적화된 efficacy test
 - NCI-60 cancer cell panel을 이용하여 개발 물질의 in vitro 효능 평가를 수행
 - 선도물질 (hit compound) 또는 적용 암종 선정
 

Target enzyme / Phenotype-based screen

항암제 in vitro 효능 평가의 자동화/최적화
서비스 예시
- 초고속 대량 스크리닝 기반 세포사멸 유도 약물 선별
 
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험 개요  |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영상분석 스크리닝을 이용하여 개발 약물의 암세포 사멸 유도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caspase-3의 활성화 이미지를 분석함.  | 
                    
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험내용  |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Test cell의 automatic seeding - 물질 처리 및 washing/cell fixing - 절단된 caspase-3 항체로 염색하고 HCS 장비로 이미지 도출  | 
                    
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험 결과  |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후보항암물질의 활성에 의해 caspase-3의 절단이 일어나고, 이를 세포사멸로 해석 - DMSO control 대비 물질의 세포사멸 유도능력이 뛰어남과 Huh7 세포에서 사멸이 더 잘 일어남을 확인 ![]()  |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



